조용한 지도력
조용한 지도력
하바드대학 경영 대학장인 죠셉 바다라코(Joseph Badaracco, Jr.)박사가 몇년 전 “조용한 지도력”(Leading Quietly)이란 책을 발간했습니다. 보편적으로 지도자라고 하면 윈스턴 처칠이나 테레샤 수녀 같이 영웅적 자취를 남긴 인물들이라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러나 바다라코박사는 뒤에서 말없이 자신들의 책무를 다했던 사람들이 오히려 더 중요한 지도자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위험을 무릅쓰고 불길을 잡았던 소방관이나 조용히 거리를 청소하는 환경 미화원, 그리고 병원에서 환자의 뒷바라지를 하는 간호사 등, 자신의 영역에서 조용히 섬기는 자들이 사회를 지키고 새 역사를 만들어 가는 진정한 지도자라는 것입니다.
사실은 이것이 성경이 제시하는 지도력의 전형입니다. 으뜸이 되고자 하면 먼저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한다는 주님의 교훈이나 몸 중에 연약한 지체가 오히려 더 요긴하다는 바울의 가르침이 그 대표적인 예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것이 지도력으로 인정 받지 못하는 것은 잘못된 세속주의의 영향 때문입니다. 더 높아져야 하고, 더 유명해 져야 하며, 더 많은 자들을 거느려야 지도자라는 왜곡된 성공주의가 참된 지도력의 개념을 흐려 놓고 있는 것입니다.
남가주의 유명한 부동산 업자 중에 아트 허스키라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이 사람은 부동산 경기가 최악의 상태에 있을 때 경이적인 판매고를 기록했던 입지적 인물입니다. 그 분의 능력이 탁월했다거나 남들이 가지지 못한 배경이 있어서 그렇게 성공한 것이 아닙니다. 그 분의 전략은 ‘부동산을 팔려 하지 말고 고객을 섬기라’는 것이었습니다. 고객의 아픔, 그들의 필요와 축복을 위해 열심히 수고의 씨를 뿌리면, 반드시 감사의 화환이 되어 자신에게 되돌아 온다는 주장입니다.
그렇습니다. 씨를 뿌리고 섬기는 사역이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세속적 영웅주의에 속아 박수와 영광을 위해 뛰어 갈 때가 많지 아니 합니까? 말없이 인생의 한 부분을 섬기며 조용히 드려지는 지도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대입니다.